hello! Parents 한줄평
내향성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이 성격의 강점이 뭔지 고민하는 기회가 됩니다.
Introduction
우리 아이는 왜 이렇게 소극적일까?
유치원이나 학교 공개수업에 다녀온 뒤 이런 고민을 하는 부모가 적지 않습니다.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큰 목소리로 발표하는 다른 아이를 보면서 부러운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그러면서 자녀 성격을 어떻게 바꿔야 할지 고민하기 시작합니다.
이런 부모의 걱정을 덜어주는 책이 바로 『콰이어트』입니다. 그는 7년의 연구 끝에 내향성의 강점을 발견하고는 ‘자기 모습을 그대로 받아들여도 된다’는 결론에 이릅니다. 그가 발견한 내향성의 강점은 뭘까요? 외향성을 선호하는 시대에 내향적인 아이는 어떻게 키워야 할까요? 이 글에서는 외향성이 주목받게 된 이유, 외향성‧내향성 차이, 내향성 아이 양육법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Quotation
•
사람들은 훌륭해지려면 대담해야 하고, 행복해지려면 사교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이곳을 외향적인 사람들의 나라라고 여긴다. 이것은 우리가, 자신이 누구인지 잊어버렸다는 뜻이다. 어떤 연구 결과를 보느냐에 따라 다를 텐데, 3분의 1 내지 2분의 1가량의 미국인이 내향적이다. p.20
•
경제가 바뀌자 그에 걸맞은 인간이 필요해졌다. 판매원, 사교기술자, 언제든 웃을 준비가 돼 있고, 악수를 멋지게 할 수 있으며 동료들과 잘 어울리면서 그들보다 눈부시게 잘해낼 수 있는 사람들이 필요했다. p.46
•
자신의 본성에 충실하자. 느리게 천천히 가는 방식이 좋다면, 다른 사람들 때문에 경주를 해야 한다고 느끼지 말자. 깊이를 즐긴다면, 넓이를 추구하려고 자신을 몰아붙이지 말자. 멀티태스킹보다 하나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면, 그런 방식을 고수하자. 보상에서 비교적 자유롭기에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는 헤아릴 수 없는 힘을 얻게 될 것이다. 그러한 독립성을 좋게 활용하는 것은 각자의 몫이다. p.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