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Parents 한줄평
육아 방식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궁금한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뇌와 관련한 사진과 그림 자료가 많아 이해하기 쉽습니다.
Introduction
아이들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본능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죠. 도대체 왜 그러는 걸까요? 『육아는 과학이다』는 이런 질문에 답을 얻을 수 있는 책입니다. 아이가 표출하는 다양한 감정과 본능적인 행동을 뇌 과학을 통해 설명하죠.
책에서는 양육자와 자녀가 일상에서 주고받는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양육자의 육아 방식에 의해 뇌의 중요한 감정체계가 결정되기 때문인데요. 이 글에서는 뇌 발달과 감정조절, 사회성을 중심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Quotation
•
부모가 일관되게 자상한 반응을 보여주면,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의 전두엽과 하위뇌 사이에 감정의 경보 상태를 진정시키는 중요한 뇌회로가 발달하기 시작한다. p.26
•
지금 부모가 아이를 사랑하는 방식, 그 사랑의 감정 에너지와 특성들은 곧바로 아이가 다른 사람들과 갖는 관계로 전이된다. 부모의 따뜻한 사랑을 받는 아이는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간다. p. 219
•
사회지능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없다. 사회성 발달을 위해서는 어릴 때 부모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p.256